1. 부동산학의 정의 및 학문적 성격
1) 부동산학의 정의
(1) 부동산학이란 부동산활동의 능률화의 원리 및 그 응용기술을 개척하는 종합응용과학이다.
(2) 부동산학이란 부동산과 관련된 의사결정과정을 연구하기 위하여 법률적ㆍ경제적ㆍ기술적 측면 등 다양한 측면의 접근을 시도하는 종합응용과학이다.
(3) 부동산학은 토지 및 그 정착물에 관하여 그것과 관련된 직업적ㆍ물적ㆍ법적ㆍ금융적 제 측면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2) 부동산학의 연구 대상
(1) 부동산현상 : 부동산과 인간과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현상 (정적인 연구대상)
① 부동산 현상의 기술적ㆍ경제적ㆍ법률적 측면의 복합적 현상이다.
② 부동산 현상은 끊임없이 변하는 운동 현상이다.
③ 부동산 현상은 지역적으로 나타나기도 하며, 개별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2) 부동산활동 : 인간이 부동산을 대상으로 전개하는 관리적 측면의 행위 또는 태도 (동적인 연구대상)
① 부동산 활동의 주체는 인간이며, 부동산학의 연구목적은 부동산 활동의 능률화에 있다.
② 부동산 활동은 기술적ㆍ경제적ㆍ법률적 측면의 복합개념에 입각하여 이루어진다.
③ 부동산 활동은 유동적이며 가변적이다.
3) 부동산학의 학문적 성격
(1) 경험과학 : 인간의 구체적 경험을 바탕으로 한다.
(2) 규범과학 : 바람직한 부동산활동(규범)을 유도하고자 한다.
(3) 사회과학 : 부동산과 관련된 사회현상과 사회활동을 연구한다.
(4) 응용과학 : 현실의 부동산활동에 응용하고자 한다.
(5) 종합과학 : 여러 학문과 연계되어 있다.
2. 부동산학의 이념 및 연구방법
1) 부동산학의 이념
(1) 효율성
①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얻어야 한다는 이념
② 토지이용의 효율성은 토지의 최유효이용으로 표현된다.
③ 일반적으로 효율성은 사적 주체가 중시하는 이념이다.
(2) 형평성
① 부동산 이익은 모든 사람이 함께 나눌 수 있어야 한다는 이념
② 일반적으로 형평성은 공적 주체가 중시하는 이념이다.
(3) 합법성 - 부동산 활동은 법의 테두리 안에서 이루어져 한다는 이념
2) 부동산학의 연구방법
(1) 종래의 연구방법
① 분산식 접근 - 다른 학문에서 부동산을 개별적ㆍ부분적으로 연구하는 방법
② 중점식 접근 - 부동산활동의 특정측면(법률, 경제, 정책 등)을 중심으로 연구하는 방법
③ 종합식 접근 - 종합과학이라는 부동산학의 성격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우리나라의 부동산학을 체계화시키고 통일시키는 데 기여한 방법
(2) 의사결정 연구방법
① 가정 : 인간은 자기이익의 극대화를 위해 행동하는 합리적 존재이다.
② 응용 : 부동산 개발ㆍ투자ㆍ금융 등 의사결정이 강조되는 영역에서 주로 응용되고 있다.
'공인중개사 핵심요약 > 핵심-부동산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학각론 - 부동산 수요공급이론(부동산 수요) (0) | 2020.03.23 |
---|---|
부동산학 총론 - 부동산의 속성 (0) | 2020.03.16 |
부동산학총론 - 부동산의 분류 (0) | 2020.03.10 |
부동산학총론 - 부동산의 개념 (0) | 2020.03.05 |
부동산학총론 - 부동산 활동 (0) | 2020.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