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난글/핵심-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공급이론

1. 부동산 공급의 개념
   1) 공급 : 일정기간 동안에 판매능력을 갖추고 재화나 서비스를 판매하고자 하는 욕구
      (1) 일정한 기간동안의 유량 개념이 원칙이나 저량개념도 필요로 한다.
      (2) 판매능력을 갖춘 유효공급을 의미한다.
      (3) 판매하고자 하는 양을 의미하는 사전적 개념이다.
   2) 공급량 : 특정가격수준에서 판매하고자 하는 최대 수량
   3) 공급가격 : 공급하기 위해 받고자 하는 최소 가격

 

2. 부동산 공급의 종류

   1) 토지의 공급

      (1) 물리적 공급 : 부증성으로 물리적 공급은 불가 (완전비탄력적)

      (2) 경제적 공급 : 용도의 다양성으로 용도의 전환 등을 통한 경제적 공급은 가능

   2) 주택의 공급

      (1) 주택저량의 공급 : 공급량 고정(재고주택)

      (2) 주택유량의 공급 : 공급량 증가 가능(신축주택)

      (3) 주택의 단기공급곡선 : 완전비탄력적

      (4) 주택의 장기공급곡선 : 우상향

 

3. 공급의 법칙과 공급곡선

   1) 다른 모든 조건이 일정할 때, 가격이 상승하면 공급량이 증가하고 가격이 하락하면 공급량도 하락한다.

   2) 공급곡선 : 우상향한다.

   4) 개별공급곡선과 시장공급곡선
      (1) 개별공급곡선 : 개별공급자들이 각각의 가격에서 공급하고자 의도한 수량을 나타내는 곡선
      (2) 시장공급곡선 : 개별공급곡선을 수평으로 합하여 도출한 곡선. 개별공급곡선보다 기울기가 더 완만하며 더 탄력적이다.

 

4. 공급량의 변화와 공급의 변화
   1) 공급량의 변화 : 공급곡선상에서의 점의 이동으로 나타난다.
      (1) 다른 모든 조건이 일정할 때, 가격의 변화에 따른 공급량의 변화
   2) 공급의 변화 : 공급곡선 자체의 이동
      (1) 가격이 일정할 때, 가격 이외의 요인이 변하면 동일한 가격수준에서 공급량이 변한다.
      (2) 공급의 변화는 공급의 증가와 공급의 감소로 구분
          ① 공급의 증가 : 공급곡선이 우측으로 이동
          ② 공급의 감소 : 공급곡선이 좌측으로 이동
      (3) 공급의 변화 요인 : 가격 이외의 변화 요인
         ① 기술 : 생산기술의 발달은 공급을 증가시킨다.
         ② 연관재의 가격
             ㉠ 대체재의 가격상승 : 대체제 공급 증가, 당해재의 공급 감소
             ㉡ 보완재의 가격하락 : 보완재 공급 감소, 당해재 공급 감소

         ③ 요소가격 : 생산요소의 가격 상승은 공급을 감소시킨다.
         ④ 세금 : 세금인상(중과세) → 공급감소, 세금인하 → 공급증가
         ⑤ 거래규제 : 규제 강화는 공급의 감소를 가져 온다.
         ⑥ 공급자수 : 공급자가 많을수록 공급량 증가
         ⑦ 금리 : 금리가 인상되면 공급이 감소
         ⑧ 보조금 : 공급자에 대한 보조금 지급은 공급 증가 등

'지난글 > 핵심-부동산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요ㆍ공급의 탄력성  (0) 2019.07.23
부동산 경기변동, 거미집 이론  (0) 2019.07.23
부동산 수요이론  (0) 2019.07.22
부동산의 특성  (0) 2019.07.22
부동산의 개념과 분류  (0) 2019.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