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난글/핵심-부동산학개론

부동산 금융

혼자서 공부하는 자격증 문제은행 :: 퀴즈뱅크(http://qbankon.com)

1. 부동산 금융의 의의

   1) 주택의 구입을 용이하게 하거나 공급을 확대하게 하는 특수금융

   2) 부동산을 운용대상으로 하여 자본을 조달하는 일련의 과정

2. 부동산 금융의 종류

   1) 자본조달방식에 따른 종류

      (1) 지분금융 : 지분이나 주식발행으로 자기자본을 조달

         ① 부동산 신디케이트 : 여러명의 투자자가 부동산 전문가의 경험을 동원하여 공동의 프로젝트 수행

         ② 조인트 벤쳐 : 특정목적의 부동산 벤쳐사업을 영위하기 위한 공동벤쳐회사

         ③ 부동산투자신탁(REITs) : 소액투자자에게 지분권을 판매하여 부동산에 투자하고 발생한 수익을 투자자에게 돌려주는 회사(주식의 유통)

         ④ 부동산펀드 : 부동산투자목적의 특수목적회사를 통한 자본조달방법

      (2) 부채금융 : 타인자본의 조달

         ① 저당금융 : 부동산에 저당을 설정하고 직접 대출을 받는 방식

         ② 신탁금융 : 담보신탁을 통해 대출을 받는 방법

         ③ 주택상환사채 : 주택법에 의하여 사업시행자가 발행하는 채권

         ④ 자산담보부증권 : 자산유동화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자산을 담보로 발행

         ⑤ 프로젝트파이낸싱 : 사업자체의 수익성과 사업자산을 담보로 융자를 받거나 회사채를 발행

3. 주택금융

   1) 주택금융의 의의

      (1) 주택소비금융 : 주택의 실수요자, 즉 소비자 금융이라고도 한다.

      (2) 주택개발금융 : 주택건설 촉진을 목적으로 건설업자에 대한 지금 지원. 공급자금융

   2) 주택금융의 필요성

      (1) 주택의 고가성

      (2) 주거서비스의 적정한 소비

   3) 주택금융의 기능

      (1) 주택거래의 활성화

      (2) 자가소유를 촉진

      (3) 저축유도와 주택자금 조성
      (4) 경기조절 : 수요와 공급의 조절

      (5) 주거생활의 안정

      (6) 부동산 공급확대에 기여



혼자서 공부하는 자격증 문제은행 :: 퀴즈뱅크(http://qbankon.com)

'지난글 > 핵심-부동산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당의 유동화 제도  (0) 2019.08.02
부동산 저당대출  (0) 2019.08.02
부동산투자분석기법 - 어림셈법, 비율분석법  (0) 2019.08.01
부동산투자분석기법  (0) 2019.08.01
현금수지분석  (0) 2019.08.01